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결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어카운트인포

by 아르투로 2022. 11. 13.
반응형

금결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어카운트인포

 

- 목차 -

1. 휴면예금이란

2. 지난해 서비스 시작 후 5개월간 2,216억 원을 찾아

3. 카드 포인트를 현금으로 

4. 금결원 홈페이지에서도 가능

5. 휴면계좌의 잔고를 활성계좌로 이체

6. 휴면계좌의 해지는 신중해야

7.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 이용시간

 

 

 

금융결제원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휴면예금과 카드 포인트를 찾을 수 있다. 통장 개설 후 오래 사용하지 않았던 휴면예금을 찾고, 여러 카드사의 포인트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

 

휴면예금을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다. 은행에 예금한 돈이 오랫동안 거래하지 않으면 휴면예금으로 분류되고, ‘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서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출연된다.

 

 

1. 휴면예금이란

휴면예금이란 금융회사의 예금 등 중에서 관련 법률의 규정 또는 당사자의 약정에 따라 채권 또는 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예금 등을 의미한다. 금융회사에서 예금은 5년 혹은 10, 자기앞수표는 5, 실기주과실(실기주에서 발생한 배당금, 배당주식 등의 과실을 의미하며, 한국예탁결제원이 수령하여 보관·관리) 10년 이상 거래나 지급 청구가 없으면 휴면예금으로 분류된다.

 

휴면예금 원권리자는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예금 찾아줌 등을 통해 조회하고 지급을 신청할 수 있었지만 이용자가 그다지 많지는 않았다.

 

전 금융권에 산재된 계좌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어카운트인포에서는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된 휴면예금은 조회할 수 없어서, 이용자가 별도로 확인해야 했다. 이에 정부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금결원 어카운트인포에서도 휴면예금을 조회하고 지급을 신청할 수 있게 했고, 그 효과가 나타났다.

 

 

2. 지난해 서비스 시작 후 5개월간 2,216억 원을 찾아

2021 1 5일 시행된 카드 포인트 현금화 서비스가 2021 5월 말 조회수 약 1668만 건, 신청건수 약 1799만 건, 이용 금액 약 2,034억 원을 기록했다. 여러 카드사의 포인트를 확인하여 이를 현금으로 바꾸어 찾아간 금액이 한 달 평균 400억 원이 넘었다.

 

어카운트인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장기미사용·휴면계좌 예치금 현금화 신청 건수도 약 120만 건, 이용금액은 약 1821000만 원(일평균 약 13000만 원)으로 2020년 말 일평균의 약 1.2배로 늘었다. 카드 포인트 현금화 2034억 원과 장기미사용·휴면계좌 해지 182억 원 등 국민의 숨겨진 재산 약 2216억 원이 주인을 찾았다.

 

이는 서민금융진흥원이 휴면예금을 비대면 조회·지급 서비스를 강화해서 성과를 낸 것에 비해 괄목한 만한 실적이다. 서금원은 휴면예금을 2017 356억 원, 2018 1293억 원, 2019 1553억 원, 2020 10월말까지 1501억 원을 찾아주었다. 서금원은 2008년부터 12년간 6964억 원을 찾아주었는데, 금결원은 어카운트인포로 5개월만에 2216억 원을 찾아주었다.

 

 

3. 카드 포인트를 현금으로 

어카운트인포가 2021 1 5일 카드 포인트 현금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5개월도 되지 않아 2034억 원을 현금으로 바꿔 주었다.

 

 

 

4. 금결원 홈페이지에서도 가능

어카운트인포에서 카드 포인트를 현금화 하거나 휴면예금을 찾는 방법은 간편하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은 어카운트인포 앱을 내려받아 활용하면 되고, 컴퓨터에만 인증서가 설치됐거나 모바일 앱을 다운받아 이용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금결원 어카운트인포 홈페이지를 통한 카드포인트 현금화는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며, 어카운트인포에서 보다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인증서+휴대폰 인증  2단계의 본인인증을 거친다.

 

인터넷으로 어카운드인포를 검색하면,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가 나온다. 메뉴에서 서비스안내를 클릭하여 어떤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내 계좌 한눈에, 내 카드 한눈에, 금융정보조회, 계좌자동이체통합관리, 카드자동납부통합관리 등을 활용해도 좋다.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이용을 위해 자신의 이름으로 된 인증서가 필요하다. 공인인증서를 비롯한 다양한 금융인증서를 활용하면 된다. 인증서로 본인확인을 한 후 휴대폰 문자인증을 거치면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5. 휴면계좌의 잔고를 활성계좌로 이체

어카운트인포에서 전 은행계좌를 한 눈에 조회하고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소액 비활동성 계좌를 잔고이전 또는 해지할 수 있다. 금결원에서 구축한 어카운트인포를 통해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시중은행에 자신 명의로 개설된 계좌 현황을 온라인상에서 편리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별로 사용하지 않는 은행 통장을 오랜 기간 방치한 경우가 많다. 소액이면 굳이 은행에 찾아가 돈을 찾고 계좌를 해지하는 것도 번거롭다. 어카운트인포에서는 휴면계좌를 클릭해 잔고를 확인한 후 이를 활성계좌로 이전하고 계좌를 해지할 수 있다. 은행에 찾아가서 했던 일을 온라인 상으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6. 휴면계좌의 해지는 신중해야

휴면계좌 해지는 신중해야 한다. 신규로 예금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예전보다 까다로워서다. 휴면계좌를 방치하면 해킹 등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지만, 당해 통장으로 거래할 가능성이 있다면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시중은행들은 금융거래 목적이 관련 서류를 통해 증명되지 않으면 통장 개설을 아예 해주지 않는다. 급여 통장의 경우 재직증명서, 급여 명세서,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소득증빙서류가 있어야 신규 개설할 수 있으며, 동창회 등 모임 통장은 회칙과 구성원 명부까지 첨부해야 통장을 개설해 준다.

 

법인이나 개인사업자용 통장 개설은 더 까다로와서, 법인 설립을 입증할 수 있는 법인등기부등본과 사업자등록증은 물론이고 사무실 임대차 계약서까지 요구한다. 실제 영업 중임을 입증하는 제무제표와 물품공급계약서와 세금계산서, 부가가치세증명원, 납세증명서 등을 은행에 제출해야 신규 통장개설을 할 수 있다. 휴면계좌가 전혀 불필요하다면 해지하고, 혹시라도 쓸 일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면 잔액만 활성계좌로 이체시키는 것이 좋다.

 

 

7.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 이용시간

어카운트인포에서 계좌 조회는 연중 가능하지만, 실제 서비스 되는 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잔고 이전과 휴면계좌 해지는 은행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용 할 수 있다. 1년 이상 입출금하지 않은 계좌의 30만 원 이하 잔고는 활동성 계좌로 옮기거나 해지할 수 있다.

 

누구나 어카운트인포를 통해 잠자는 예금을 찾고, 카드포인트를 현금화할 수 있다. 휴대폰으로 어카운트인포 모바일 앱을 내려받거나 컴퓨터에 접속하여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불경 불교경전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반납제도

 

자동차 세금표 자동차세 연납 제도 선납

반응형